-
[금융 용어 정리] 5. EV(Enterprise Value)/EBITDA(Earnings Before Interest, Taxes, Depreciation, and Amortization경제 2024. 3. 31. 18:59728x90반응형
이번에 알아볼 금융용어는 EV/EBITDA입니다.
지난 포스팅들을 통해서기업가치, 시가총액, PER, EPS, ROE 등의
개념을 알아보았는데요,
EV/EBITDA 역시 투자자들이투자를 하기 전에
기업의 재무제표를 볼 때
많이 보는 지표 중 하나입니다.
정의를 이해하시면지표 자체가 의미하는 것을 해석하기
생각보다 간단하기 때문에 잘 따라와 주세요!
EV/EBITDA의 정의와 계산
EV는 지난번에 알아본
Enterprise Value의 약자로 기업가치를 뜻하고
EBITDA는 Earnings Before Interest,Taxes, Depreciation, and Amortization의 약자로
이자, 세금, 감가상각비 및 무형자산 감가상각비를공제하기 전의 이익을 의미합니다.
즉, 핵심적인 영업 활동에서발생한 이익이라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계산식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은데요,너무나도 간단하게,
이미 EV/EBITDA라는 용어에서부터 계산식이네요!
기업가치는 총자본에부채를 더한 금액으로 정의되기 때문에,
계산식을 통해서 EV/EBITDA 값의의미를 해석해 보면 해당 값은
현재 발생하고 있는 이익을몇 년 동안 벌어야
현재의 기업가치만큼 도달하는지를
뜻하게 됩니다.
즉, 기업이 1원의 EBITDA를 벌어들이는데투자해야 하는 금액을 의미하기도 합니다.
EV/EBITDA의 활용
EV/EBITDA 지표는 다음과 같이
3가지 정도의 활용 방법이 있는데요,
먼저는 기업평가에 EV/EBITDA 가 사용됩니다.
EV/EBITDA의 값이 낮을수록기업이 저평가되었다는 의미이며,
투자 매력도가 높다고 볼 수 있습니다.
다음으로는 기업의 M&A평가 시사용할 수 있는데요,
M&A를 고려할 때 기업의인수 가치를 평가하는 데 사용됩니다.
기존 블로그 글을 보고 오셨다면
기업가치(EV)가 기업의 인수할 때 드는총비용이라고 이야기한 것을 기억하실 텐데요,
만약 EV/EBITDA가 10인기업을 인수하게 됐을 때
현재의 EBITDA 가 유지된다고 가정하면M&A에 사용된 금액을 모두 회수가능한
기간이라고도 이해할 수 있습니다.
즉 M&A 관점에서도 당연히EV/EBITDA가 낮을수록 매력적이겠죠!
마지막으로는 업종 비교에 사용됩니다.업종이 다르다면 주식 자체의
EV/EBITDA 가 다를 수 있습니다.
따라서 동일 업종 내의 비교만이 의미를 가지게 됩니다.
이때 EV/EBITDA 값을 통해서동일 업종 내에서 다른 회사들 사이에서의
상대적 가치 평가를 할 수 있게 됩니다.
하지만 당연히 다른 지표와 마찬가지로EV/EBITDA를 참고하실 때는
주의하실 점이 있는데요
EBITDA는 순이익과 달리현금흐름을 반영하지는 않습니다.
또한 EV/EBITDA는기업의 성장 가능성을 반영하지 않습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다른 지표들과 마찬가지로
EV/EBITDA 비율은
자본구조, 회계처리 방법, 감가상각 방법 등의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EV/EBITDA 지표만을 보고투자하는 것은 당연히 큰 리스크가 있겠죠?
EV/EBITDA를 통해서대략적인 회사의 현재 가치가
어느 정도 되어있는지 확인하고
동종업계 대비 저평가가 되어 있는지고평가가 되어있는지
확인해 보시길 바라겠습니다!
그러면 이번에도 유익한 정보가 되셨길 바라며!
모두의 성공적인 투자를응원합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융 용어 정리] 7. 인플레이션과 디플레이션. 경제 용어 파헤치기 (2) 2024.04.14 [금융 용어 정리] 6. ROIC (Return on Invested Capital) 투하자본수익률, ROE,ROA 와 ROIC 의 차이점 정리! (0) 2024.04.04 [금융 용어 정리] 4. ROA (Return on Asset) 와 ROI (Return on Investment) (2) 2024.03.27 [금융 용어 정리] 3. ROE (Return on Equity) 자기자본이익률 개념 (0) 2024.03.25 [금융 용어 정리] 2. PER(Price Earnings Ratio) 주가수익비율 과 EPS (Earn Per Share) 주당순이익 (0) 2024.03.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