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금융 용어 정리] 3. ROE (Return on Equity) 자기자본이익률 개념경제 2024. 3. 25. 20:42728x90반응형
오늘 알아볼 필수 금융 용어는 ROE입니다!
세계적으로 유명한 투자자들도투자 전에 꼭 참고한다는 그 개념!
ROE를 자세하게 알아보아요!!
ROE의 정의와 계산
ROE는 Return on Equity의 약자로,
한국어로는 자기 자본이익률입니다.
더 쉬운 용어로는자기 자본 대비 순이익입니다.
즉, 자기 자본 대비얼마나 기업이 효율적으로
수익을 창출하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자기 자본이란 총자본에서
부채를 차감한 금액 입니다!)
여기서 중요한 부분은'얼마나 효율적으로 돈을 버는가?'입니다.
계산식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은데요,계산 식에서 이야기해 주는 것처럼
기업이 자기 자본 대비해서
발생시키는 이익률이기 때문에
보통 ROE 가 높은 기업은굉장히 효율적으로 회사를 운영하며
순이익을 발생시키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단, ROE에서 계산되는자기 자본에는
부채가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즉, 기업이 부채를 일으켜순이익을 증가시켜
ROE 값을 올릴 수도 있다는 이야기입니다.
따라서 ROE를 볼 때에는현재 기업의 순자산과
자기 자본의 괴리율을 볼 필요가 있겠죠!
여기서 잠깐!
그러면 자기 자본 대신에순이익에 부채를 포함한 총자산을
넣으면 되는 거 아닌가? 하는
질문을 하실 분들이 계실 텐데요, 해당 개념은 ROA라고 불리고
다음 블로그 글에서
더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ROE의 활용
워런버핏은 ROE에 대해서
이런 이야기를 한 적이 있습니다.
"최소 3년 이상 ROE가15%인 이상인 기업을 찾아 투자하라"
그만큼 ROE는 좋은 기업을 찾기 위해서꼭 참고해야 할 정보인데요!
ROE를 통해서 기업이얼마나 효율적으로 기업 활동을 하는가를
알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ROE는 기업이몇 퍼센트의 복리로 성장하고 있는지도
어림 잡아 볼 수 있는데요,
예를 들어서 제가 1억의 자기 자본이 있는 상황에서연 2000만 원의 순수익을 번다면
ROE는 20%가 되고,
해당 순수익은 제 자기 자본에 더해져서그다음 해에는 1억 2천이 됩니다.
만약에 ROE 가 동일하게 20%로 유지가 되면
그 해에 순수익은 2400만 원이 되고계속해서 자기 자본에
해당 순수익이 더해지게 됩니다.
즉, ROE 가 20%인 상황이계속해서 유지되는 기업은
20% 복리로 자기 자본이 성장하는 회사로도
해석할 수 있습니다.
아마 복리를 사랑하는 워런버핏도이 부분 때문에 ROE를
살펴보는 것이 아닐까요? ㅎㅎ
또한 ROE는흔히 시중금리와 비교해서 볼 수 있는데요,
ROE는 그 개념이자본 대비 벌어들이는 순이익이기 때문에
은행에 예금해 놓고받을 수 있는 최대 이자랑
비슷하게 볼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ROE 가 시중 금리보다 낮거나또는 채권의 이자율보다 낮다면
굳이 그 주식을 사면서고위험을 부담할 필요는 없어지겠죠?
하지만 ROE는 계산식에서도 엿볼 수 있듯이그 자체로써 한계가 있는 지표입니다.
자기 자본에는 부채가 포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부채를 일으켜 순이익을 증가시켰는지
꼭 별도로 확인해야 합니다.
또한 해당 기업이 속한 산업군에 따라서도ROE 값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제조업 같은 경우는보통 ROE 가 매우 낮은 것으로 유명하지만
지난 몇십 년 동안
어마어마한 돈을 벌어 들였죠!
따라서 ROE는 투자를 결정하기 전에꼭 확인해야 하는 정보이지만
유의해야 할 부분들이 조금 있기 때문에다른 보조 지표들도 함께 참고해서
투자하시기 바라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다음편 4. ROA 와 ROI
https://divineinsights.tistory.com/entry/ 금융-용어-정리-4-ROA-Return-on-Asset-와-ROI-Return-on-Investment
[금융 용어 정리] 4. ROA (Return on Asset) 와 ROI (Return on Investment)
지난 [금융용어 정리 시리즈] 3번에서 알아본 ROE 개념은 모두 잘 이해하고 오셨나요? 이번 게시물은 ROE와 비슷한 개념인 ROA와 ROI에 대해서 알아볼 예정입니다. ROE를 설명하면서 간접적으로 잠깐
divineinsights.tistory.com
반응형'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