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금융 용어 정리] 7. 인플레이션과 디플레이션. 경제 용어 파헤치기
    경제 2024. 4. 14. 22:23
    728x90
    반응형

    오늘은 경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두 가지 개념,

    인플레이션과 디플레이션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물가 수준 변동을 통해
    경제 전반에 걸쳐 다양한 영향을 미치는
    두 개념에 대한 이해는
    우리 경제를 올바르게 파악하는 데
    필수적이기 때문에
    조금 내용이 길고 어려울 수 있어도
    같이 이해해 보도록 합시다!


    인플레이션, 디플레이션이란?

    인플레이션은 일정 기간 동안 물가 수준이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쉽게 말해서 화폐의 가치가 감소하여
    동일한 돈으로 더 적은 물건이나 서비스
    구매할 수 있는 상황을 나타냅니다.
    즉, 물건의 가치가 크게 상승해서
    화폐의 가치가 상대적으로 작게 느껴지는 것이죠.
    마치 10000원으로 사과 5개를 살 수 있었는데
    10000원으로 3개만 구매가 가능한 상황이
    된 것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디플레이션은 반대로 물가 수준이
    지속적으로
     하락하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돈의 구매력이 증가하여 동일한 돈으로 
    더 많은 물건이나 서비스
    구매할 수 있는 상황을 나타냅니다.

    즉, 물건의 가치가 하락해서
    화폐의 가치가 상대적으로
    크게 느껴지는 것이죠.
    마치 10000원으로 사과 5개를 살 수 있었는데
    10000원으로 8개가 구매가 가능한 상황이
    된 것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즉 인플레이션의 정확히
    반대 상황이 펼쳐지는 것이
    디플레이션이 됩니다!


    인플레이션과 디플레이션의 원인

    인플레이션과 디플레이션의 원인은
    우리가 익숙하게 알고 있는
    수요 공급 곡선을 통해서
    일반적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먼저 인플레이션부터 살펴보면!

    출처: https://www.mk.co.kr/news/economy/10456640

    1. 수요 증가에 의한 인플레이션
    경제 성장, 소득 증가,
    정부 지출 증가 등으로 인해 
    상품과 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증가
    하면 가격이 오릅니다.
    마치 모두가 좋아하는
    새 스마트폰 출시로 인해
    가격이 급등하는 것처럼
    생각하면 됩니다.
     
    2. 공급 감소, 비용 상승에 의한 인플레이션
    생산량 감소, 수입 감소, 자원 가격 상승
    등으로 인해 상품과 서비스의
    공급이 감소
    하면 가격이 오릅니다.
    예를 들어, 해외에서 수입하는 석유 가격이 급등하면
    석유를 사용하는 제품들의 가격도
    함께 올라가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출처 : https://blog.naver.com/msk2240/221818375244

    3. 화폐 공급 증가에 의한 인플레이션
    중앙은행의 화폐 공급 증가는 시중에 유통되는 돈의
    양을 늘려 인플레이션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마치 새로 돈을 잔뜩 발행하면 돈의 가치가 떨어져
    물가가 오르는 것과 같은 원리입니다.

     

     
    다음으로 디플레이션을 살펴보면,
    (이미지는 위에 인플레이션과
    정반대로 움직인다고 생각하고
    이해해 주시면 됩니다)

     
    1. 수요 감소에 의한 디플레이션
    경제 침체, 소득 감소, 정부 지출 감소 등으로 인해
    상품과 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감소
    하면 가격이 떨어집니다.
    경기가 침체되어 사람들이 소비를 줄이면
    대부분의 물건 가격이 하락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2. 공급 증가에 의한 디플레이션
    생산량 증가, 수입 증가, 기술 발전 등으로 인해
    상품과 서비스의 공급이
    증가
    하면 가격이 떨어집니다.
    예를 들어, 자동차 생산기술 발전으로 인해
    자동차 가격이 점점
    저렴해지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3. 화폐 공급 감소에 의한 디플레이션
    중앙은행의 화폐 공급 감소
    시중에 유통되는 돈의 양을 줄여
    디플레이션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마치 유통되는 돈의 양을 줄이면
    돈의 가치가 높아져
    물가가 떨어지는 것과 같은 원리입니다.


    인플레이션과 디플레이션의 영향, 

    사실 더 중요한 것은 원인보다는 영향이고,
    원인과 영향의 기본적인 틀만 이해하고 나면
    우리가 관심이 있는 주식시장에서의
    변동성에 대해서 
    나름의 해석을 내놓는
    많은 경제 뉴스와 전문가들의 이야기들을

    큰 범주에서는 이해하실 수 있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잠깐 곁다리로 투자에 대해서 이야기하면,
    저는 개인적으로 개인 투자자가
    장기적 관점에서 투자를 한다면

    이러한 영향에 대해서 크게 관심을 가지지 않아도
    된다고 생각하는 편입니다!

    결국 이러한 인플레이션과
    디플레이션과 같은 문제는 

    위대한, 훌륭한 기업이 알아서
    잘 헤쳐나갈 문제입니다.

    투자자 입장에서는 장기간
    여러 경제 위기 가운데에서도

    나에게 좋은 수익을 안겨줄 기업을 찾는 것에
    집중하는 것이 좋겠죠!

     
    자, 다시 본론으로 돌아가서
    인플레이션과 디플레이션의

    긍정적인 영향과 부정적인 영향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인플레이션의 긍정적인 영향

    1. 경제 성장을 촉진합니다
    적절한 수준의 인플레이션은
    기업 투자를 유도하고,
    고용 증가를 촉진하며, 경제 성장을
    뒷받침할 수 있습니다.
    마치 가격 상승을 기대하는 기업들이
    적극적으로 투자를 확대하면
    경제가 활성화되는 것과 같습니다.

    또한, 소비자들도 미래 물가 상승을 예상하고
    현재 소비를 늘리는 경향이 있어
    경기 침체를 방지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실제로 미국의 경우를 살펴보면,
    2024년 기준 고 인플레이션 상황에서의 목표는
    제로 인플레이션이 아니라
    2%대의 인플레이션입니다!
     
    2. 명목 임금이 상승합니다
    인플레이션 상황에서 명목 임금이 상승하면
    실질 임금 하락을 완화하고 근로자들의 구매력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쉽게 이해하면, 최저시급 증가율이
    고인플레 상황에서 더 크게 됩니다.
    실질적으로 노동자들이 시간당 받는
    임금이 늘어나는 것이죠!
    (*명목 임금: 근로자가 노동의 대가로 받는 화폐액)
     
    3. 부채 감소가 감소하는 효과를 누립니다
    인플레이션으로 인해 실질 부채가
    감소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명목 부채는 그대로 이겠지만,
    물가상승률을 고려한 실질 부채의 양은
    줄어드는 것이죠!
    이는 기업과 가계의 재정 상태 개선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즉, 내가 빚이 1억이 있어도 인플레이션에 의해서
    1억 빚의 실질적인 가치는 줄어드는 것입니다!

     

    인플레이션의 부정적 영향

    1. 실질 소득이 감소합니다
    인플레이션률이 소득 증가율보다 높으면
    실질 소득은 감소하게 됩니다.
    즉, 돈의 구매력이 떨어져 동일한 돈으로 살 수 있는
    물건과 서비스의 양이 줄어드는 것입니다.
    만약 소득 증가율이 2%인데,
    인플레이션이 3%라면
    실질 소득은 -1%가 되는 것입니다.
     
    2. 저축 감소의 영향이 있을 수 있습니다
    미래 물가 상승을 우려하여 소비가 증가하고
    저축이 감소할 수 있습니다.
    이는 장기적인 경제 성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또한, 노후 대비를 위한 저축 감소는
    노후 생활 불안정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3. 투자를 위축시킬 수 있습니다
    심각한 인플레이션은 경제 불안정을
    야기하고 투자 위축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기업들은 미래의 수익 예측이 어려워지고,
    투자에 대한 불확실성이 높아짐에 따라
    투자를 줄일 수 있습니다.
    또한 보통 고인플레이션 상황에서는
    기본적으로 통화정책이
    고금리 상황일 경우가 많은데요,
    고금리 상황에서는 시중 은행 금리가
    높게 유지되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변동성이 크고 원금손실이 있는
    주식시장으로의 유입이 줄어들게 됩니다.
     
    4. 중앙은행의 금리 상승을 초래하게 됩니다
    중앙은행은 인플레이션을 억제하기 위해
    금리를 인상할 수 있습니다.
    금리 상승은 기업의 자금 조달 비용을 증가시키고,
    소비를 감소시켜 경제 성장을 위축시킬 수 있습니다.
    또한, 개인의 부채 상환 부담도 커질 수 있습니다.
    결국, 개인에게나 기업에게나
    인플레이션으로 인한 금리 상승 시기에는
    지출 및 비용에 대한 부담이 커지게 됩니다.

     

    디플레이션의 긍정적 영향

    1. 가계의 실질 소득이 증가하게 됩니다
    인플레이션과 반대로,
    디플레이션으로 인해 물가가 하락하면
    동일한 돈으로 더 많은 물건과 서비스를
    구매할 수 있게 되어
    가계의 실질 소득이 증가합니다.
     
    2. 저축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미래 물가 하락을 기대하여 소비가
    감소하고 저축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이는 노후 대비 및 장기적인 목표 달성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3. 일반 예적금 상품들보다 투자 상품의
    매력도가 높아져 투자가 활성화 됩니다

    저금리 환경에서 투자가 더욱
    매력적으로 느껴져 투자가
    활성화될 수 있습니다.
    기업들은 저렴한 자금을
    조달하여 투자를 확대하고,
    개인들도 저축을 투자로 활용하여
    자산 증식을 추구할 수 있습니다.
     
    4. 부채 상환이 용이해집니다
    디플레이션으로 인해 실질 부채가 감소하여
    부채 상환이 더욱 용이해집니다.
    이는 개인과 기업의 재정 상태 개선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디플레이션의 부정적 영향

    1. 경제 침체를 야기할 수 있습니다
    심각한 디플레이션은 소비 위축, 투자 감소,
    기업 도산 증가 등을 초래하여
    경제 침체를 야기할 수 있습니다.
    소비자들은 미래 물가 하락을 기대하여
    현재 소비를 미루고,
    기업들은 투자를 주저하며,
    경제 활동이 전체적으로 위축될 수 있습니다.
     
    2. 기업의 미래 사업 투자 감소와
    실업률이 증가하게 됩니다

     기업들은 미래 경기 침체를
    우려하여 투자를 줄입니다.
    설비 투자, 연구 개발 투자, 인력 투자 등
    다양한 투자가 위축되면서
    경제 성장 동력이 약화됩니다.
    또한 악순환으로 기업들의 매출 감소와
    도산으로 인해 실업률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특히, 제조업과 같은 노동 집약적인 산업에서
    실업률 증가가 심각할 수 있습니다.
     
    3. 기대 디플레이션 심리가 증가합니다
    디플레이션이 지속되면
    기대 디플레이션이 발생하여
    현재 물가 하락을 예상하는
    심리가 확산될 수 있습니다.
    이는 소비 위축과 투자 감소를
    더욱 심화시켜 악순환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4. 금융 시장에 불안과 두려움을 불어넣습니다
    디플레이션은 금융 시장 불안을
    야기할 수 있습니다.
    특히, 부동산 가격 하락은
    금융기관의 부실자산
    증가로 이어질 수 있으며,
    이는 금융 시스템 전체에 위협이 될 수 있습니다.
    실제로, 옆나라 일본은
    1989년부터 30년이 넘는 기간 동안
    디플레이션으로 인해서
    경제가 파탄이 난 것을 볼 수 있죠!

    반응형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