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은퇴 후 자금 인출 방법론! 4%룰을 이해하고 노후 준비 끝내자경제/노후대비 주식투자 2024. 8. 4. 16:25728x90반응형
4% 룰이란 무엇인가?
4% 룰이란 은퇴 후에 생활비를
이론적으로 영구적으로 인출할 수 있는 전략입니다.
'25배의 법칙'으로도 알려진 4% 룰은,
은퇴 후 매년 희망하는 생활비의
25배를 은퇴 자금 목표를 세우고
첫해에만 4%를 인출하고
그 이후 부터는 물가상승률만큼
추가로 인출하는 전략입니다.
(예: 매년 4000만원 필요 → 은퇴자금 10억 목표)
4% 룰이 유지 되려면
4% 룰은 인출 방법론이기 때문에
4% 룰이 잘 유지가 되려면
열심히 모은 은퇴 자금이
주식이든 채권이든 예금이든
현금화가 가능한 금융 자산에
투자되어야 합니다.
투자된 자산의 수익률이 인출 금액보다
매년 높다면 자금은 이론적으로
고갈되지 않으면서 안정적으로
은퇴 후의 생활비를 마련해 주게 됩니다!
만약 어떠한 금융자산에도
투자가 되어 있지 않고
현금을 통해서 은퇴자금을 그대로 둔다면
인플레이션으로 인한 화폐가치 하락과
원금의 손실로 인한 은퇴 자금
고갈의 문제를 피할 수 없게 됩니다.
위 그림은 연평균 인플레이션 2%를 가정하고
계산해 본 것을 시각화한 것입니다.
이를 통해서 살펴보면
연평균 7%의 복리 수익을
가져오는 자산에 투자했을 경우에는
필요한 생활비와 추가로
인플레이션률만큼 인출을 하여도
오히려 시간이 지날수록 자산이 늘어나게 됩니다.
반대로 어떤 자산에도 투자하고 있지 않는다면
82세 즈음에 은퇴자산이 고갈되게 됩니다!
즉!! 4% 룰의 중요한 핵심은!
모은 은퇴자금은
인덱스 펀드든 채권이든 현금화 가능한
자산에 투자가 되어있어야 하며
연평균 수익률이 4% 보다 높게 투자되어야
원금 손실 없이 오랫동안
유지될 수 있다는 것입니다.
4% 룰, 어떻게 활용할까?
예를 들어, 은퇴 후 매년
4천만 원의 생활비가 필요하다면,
4% 룰에 따라 10억 (4천만 원 x 25)의
은퇴 자금을 목표로 삼고,
첫 해에는 4천만 원을 인출합니다.
이후 매년 물가 상승률을 고려하여
인출 금액을 조금씩 늘려가면 됩니다.
추가적으로 10억 자산을 보유하게 되면
그 금액이 커질수록 세금의 문제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를 최소화하여 자금을 최대한 유지하려면
연금저축펀드와 같은 절세계좌를 통해서
자산을 투자하고, 인출하는 것이 현명합니다!
연금저축펀드는 아래 글을 참고해 주세요!
https://divineinsights.tistory.com/entry/연금저축펀드_총정리
2024 연금저축펀드 총 정리! 납입한도, 투자가능상품, 세제혜택, 과세이연 모두 정리했습니다! 사
안녕하세요, 이번에는 연금저축펀드에 대해서 이야기해 보고자 글을 썼습니다. 개인연금 중 하나인 연금저축 펀드가 무엇인지 비과세 혜택과 장점, 단점 그리고 왜 연금저축펀드가 사회초년생
divineinsights.tistory.com
4% 룰, 왜 믿을 수 있을까?
미국 주식 시장의
대표적인 지표인 S&P 500 지수는
장기적으로 연평균 8~10%의
수익률을 기록해 왔습니다.
4% 룰은 이러한 시장의 힘을 믿고,
인플레이션을 감안하더라도
자산이 줄어들지 않고
오히려 늘어날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4% 룰, 맹신은 금물!
4% 룰은 과거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통계적 모델일 뿐,
미래 시장 상황은 예측 불가능합니다.
따라서 안전 마진을 두고
목표 은퇴자금을 설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개개인의 은퇴시점이 다르고,
기대 수명과 투자에 있어서
위험 감수 성향이 다르며
지출 패턴도 다릅니다.
따라서 4% 룰은 하나의 가이드라인일 뿐
각자의 상황에 맞는 인출 전략이 필요합니다.
마무리
4% 룰은 은퇴 후에도 걱정 없이
풍요로운 삶을 즐기기 위한 훌륭한 도구입니다.
하지만, 모든 투자에는 그에 따른 책임이 따르듯,
4% 룰 역시 맹신하기보다는
유연하게 활용하고 꾸준히 관리해야 합니다.
자신만의 은퇴 설계 지도를 그리고,
4% 룰이라는 나침반을 따라
즐겁고 안정적인 노후를 향해
항해하시기 바랍니다
반응형'경제 > 노후대비 주식투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