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금융 용어 정리] 9. 배당이란 무엇인가? 배당의 정의와 효과! 기업이 배당을 지급한다는 것은 어떤 의미일까?경제 2024. 5. 17. 23:03728x90반응형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4042684155
구글, 사상 첫 배당 '주당 20센트'…AI 불안감 덮었다 [글로벌마켓 A/S]
구글, 사상 첫 배당 '주당 20센트'…AI 불안감 덮었다 [글로벌마켓 A/S], 뉴스
www.hankyung.com
최근(24년 5월), 구글이
사상 첫 배당 지급 결정함에 따라
시장이 긍정적으로 반응했는데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기업의 가장 대표적인
주주환원 정책 중 하나인
배당에 대한 정의와
그 효과 그리고 의미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배당의 정의와 효과
배당이란 영어로는 Dividend로
기업이 영업활동을 통해서
벌어들인 이익금의
일부 또는 전부를
주주에게 나누는 것을 말합니다.
쉽게 생각해 보면
기업을 믿고 투자한
투자자들에게 감사하다고
회사가 벌어들인 이익을
나눠주는 것입니다!
배당을 지급하는 것은
대표적인 기업의
주주환원 정책입니다
자신들을 믿고
투자해 준 투자자들에게
회사의 이익금을 나눔으로써
보답하는 것이기에
투자자에게 기업에 대한
신뢰를 높여주고
지속적으로 투자함에 있어서
긍정적으로 신호 여겨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리고 무엇보다
배당을 줄 수 있으려면
회사에 충분한 잉여 자본이
있어야 하기 때문에
회사가 기본적으로 흑자를 내고 있으며
기업의 현금 흐름이 좋음을 의미합니다.
거기에 더해서
지속적으로 끊기지 않고
배당을 지급하거나
지속적으로 배당을 늘리고 있다면
더할 나위 없이
좋은 시그널이겠죠!
기업이 배당을 하는
여러 가지 이유와 시사점그렇다고 해서 배당을 하는 것이
항상 가장 효과적으로
주주환원을 하는 방법일까요?
항상 그렇지만은 않습니다.
가장 대표적인 다른 방법은
자사주매입이 있습니다.
자사주매입도 유명한
주주환원 정책 중 하나인데
이 부분을 자세히 다룬
포스팅이 있으니 참고 부탁드립니다!
https://divineinsights.tistory.com/entry/자사주매입
[금융 용어 정리] 8. 자사주 매입의 효과와 기업이 자사주 매입을 하는 이유. 자사주 매입이 시사
https://news.einfomax.co.kr/news/articleView.html?idxno=4308277 애플, 매출 선방…1천100억달러 자사주 매입 발표(상보) - 연합인포맥스아이폰 판매 부진 우려를 받아온 애플(NAS:AAPL)이 예상보다는 나은 실적을
divineinsights.tistory.com
따라서 우리는 투자를 하기 전에
배당을 주는 기업들의 특징과
그 기업들이 왜 배당을 지급하는지
생각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1. 주주 환원과 기업가치 제고 효과
대부분의 회사들은
주주환원 정책의 일환으로
배당을 지급합니다.
이는 기업이 주주 친화적인
정책을 선택함으로써
지속적으로 회사에 투자할 수 있게
만들어주기도 합니다.
또한 이러한 배당 결정을 통해서
투자자들은 기업의 현금흐름에 대해서
긍정적으로 생각할 수 있게 됩니다.
이는 배당 결정이란 회사의 돈을
나누는 것이 때문에 충분한 현금흐름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지급하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즉, 배당 지급을 통해서
기업의 재무적 건전성과
지속 가능성에 대해
신뢰를 주는 효과를 주게 됩니다!
이는 자연스럽게 장기적으로
성장하는 기업에 투자하는 사람들보다는
투자 후 즉각적으로
안정적인 수익을 추구하는
투자자들에게 긍정적으로 여겨집니다.
(사실, 이 부분은 반은 맞고 반은 틀립니다.
배당 성장이라는 개념을 알게 된다면,
배당을 지급하는 기업도
장기적으로 성장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다음 포스팅을 참고해 주세요!)
2. 세금 절감
또 다른 긍정적인 이유는
기업이 세금절감 효과를 위해
배당을 지급한다는 것입니다.
이 부분은 주주 환원 정책을 피면서
자연스럽게 덤으로 따라오는
긍정적인 효과라고 이해하면 됩니다.
즉, 기업이 충분한 잉여 자본 이익을 남기고
회사의 주주들에게 나눴더니 자연스럽게
그 소득에 대한 세금을 덜 내게 됐다~라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기업 입장에서는
불필요하게 세금을 내지 않고
오히려 그 돈을 통해서
주주들의 충성심을 고취시킬 수 있으니
매우 지혜로운 선택이 되겠죠!
3. 신 성장 동력 둔화
or
신규 투자 필요성이 낮을 때배당을 지급하는 모든 기업이
그런 것은 아니지만
어떤 경우에는 기업이
신성장 동력이 둔화했거나
이미 지속가능한 수익을
창출하는 비즈니스 모델에
추가적인 투자가 필요 없을 경우에
배당을 지급하기 시작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보통 빠르게 성장하는 기업의 경우에는
대부분의 잉여 자본금을
기업의 경쟁력 확보를 위한 자금으로
투자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그렇게 미래를 위해서
지속적인 투자를 해야
경쟁에서의 비교우위를 확보하고
독점적이고 위대한 기업으로
도약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빠르게 성장하는
산업에 속한 기업이
회사에 미래를 위해 투자하지 않고
배당을 지급한다는 것은
해당 기업의 산업에 따라서
다르게 해석될 수 있겠지만
부정적으로는 기업의
신성장 동력은 상실했지만
투자자들에게 기업 이미지를
지속적으로 긍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하는 방편으로 해석될 수 있고
또는 긍정적으로는
추가적인 투자를 하지 않고도
현재 빠르게 성장하는 산업에서
이미 그동안 많이 투자함으로 인해
이미 충분히 비교우위를 점해서
지속가능한 비즈니스 모델을 구축했음을
의미할 수도 있습니다!
애플 스토리
예를 들어서,대표적으로 애플이라는 기업은
빠르게 성장하는 산업에 속한
기업임에도 불구하고
적은 금액이지만
배당금을 지급하고 있습니다.
(2012년부터 지급 시작
2024년 기준 연간 배당률 0.53%)
이 경우에는 애플이
신성장 동력을 잃었기 때문에
배당금을 지급하는 것이 아니라
이미 수년 전부터 천문학적인 금액을
들여서 개발 인프라를 구축해 왔고
개발 인프라가 이미 충분하며
현재 구축된 시스템을 통해서도
이미 충분히 지속가능한 비즈니스 모델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결정한 배당입니다.
(애플은 배당뿐만이 아니라
꾸준히 자사주 매입도 하는 기업입니다!
주주들의 이익을 매우 중요하게
생각하는 기업임을 알 수 있습니다!)
하지만, 배당을 지급하는 회사가 항상
미래에 대한 투자는 이제 중단하고
배당금으로 나눠주기만 하는 것은 아닙니다.
애플과 같은 경우에는 배당금을 일정금액
지급하면서 동시에 자신들이
미래에 더 큰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
필수적인 분야에 지속적인 투자를 하고 있습니다!
(ex. 반도체 칩 설계, 신규 디바이스 개발)
이번 포스팅을 통해서
배당의 개념과
배당을 지급하는 이유와
효과등에 대해서
알아보는 시간이었습니다.
다음 금융용어 시리즈에서는
배당 주식에 실제로 투자할 때
많은 투자자분들이 꼭 알아야 할
배당 성장률 개념에 대해서
딥하게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스포 : 코카콜라 현재 배당률 3%,
워런 버핏의 코카콜라 배당률 51%)
또한 많은 분들이 더 실전적으로
궁금해하실 귀족 배당주
판별하는 방법에 대해서도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