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금융 용어 정리] 2. PER(Price Earnings Ratio) 주가수익비율 과 EPS (Earn Per Share) 주당순이익경제 2024. 3. 25. 00:10728x90반응형
주식 투자에 관심이 있다면,
PER과 EPS라는 용어를
한 번쯤은 꼭 접하게 될 텐데요
이 두 지표는 투자 대상 기업의
수익성과 가치를 평가하는데
가장 기본적인 지표들이기 때문에
종목을 투자하기 전에 한번쯤은
꼭 알아보고 투자하면 좋은 정보들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PER 과 EPS의 정의와
각각 어떻게 계산하고
해석해야 하는지에 대해서
상세하게 알아볼 예정입니다.
PER 정의와 계산
PER 은 Price Earnings Ratio의 약자로,
우리말로 주가 수익 비율을 뜻합니다.
즉, 현재 주식의 시장가격과
한 주당 기업의 순이익을 통해서
산출하는 지표인데요
계산식을 더 자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계산식을 해석해 보면,
현재 주식 시장가격을
주당 벌어들이는 순이익으로 나눈 값인데요,
이를 지난 시간에 배웠던
시가총액 개념을 가지고 오면
다음과 같이도 표현할 수 있습니다
즉, PER 은
현재 주가가 주당 순이익 대비
몇 배의 가격으로 거래가 되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만약 PER 이 10이라고 한다면
그 기업은 현재 순이익을
10년 동안 벌어들인다는 가정하에
현재 시가총액을 만큼의 돈을
10년 안에 번다는 의미를 가집니다.
따라서 보통 PER 이 낮을수록 시장에서
저평가가 됐다고 이야기하고
PER 이 높을수록 시장에서
고평가가 됐다고 이야기하곤 합니다.
하지만! PER 은 현재까지의
실적을 기반으로 한 지표이기 때문에
PER 만으로 주식이 저평가/고평가 됐다를
논하기는 무리가 있습니다!
미래의 순이익을
현재 PER 에는
반영하지 않기 때문이죠!
따라서 투자 판단에 참고만 할 뿐
저점 판독기로 사용하시지 않길 바라겠습니다!
EPS의 정의와 계산
EPS는 Earnings Per Share의 약자로,
우리말로 주당 순이익을 뜻합니다.
기업이 한 주당 얼마나 많은
순이익을 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EPS의 계산식을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계산식을 해석해 보면,
전체 순이익을 발행된
주식 수로 나눈 값인데요
순이익은 재무제표상
당기 순이익이라고도 불립니다.
즉, EPS 가 높을수록
기업의 수익성이 높다고 평가할 수 있고
효율적으로 돈을 잘 벌어들이고 있다고
판단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보통 기업을 분석할 경우에는
EPS의 성장률을 확인하면
내가 투자하려는 기업의
수익 성장 가능성을 엿볼 수 있습니다!
단, PER과 마찬가지로 EPS도 마찬가지로
현재까지의 실적을 기반으로 한 데이터이기 때문에
미래의 수익성을 보장해주지는 않습니다.
PER과 EPS 의 상관관계
오늘 알아본 PER 과 EPS는
서로 수식적으로 연관성이 깊은데요,
계산식으로 알아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현재 주가를 EPS로
나눈 값이 PER이 됩니다!
즉, 주가는 그대로인 상황에서
한 주당 벌어들이는 돈이 많다면
PER 은 낮아지게 되고
벌어들이는 돈에 비해서
주가가 지나치게 많이 오른 상황이라면
PER 은 높아지게 됩니다!
여기까지!
주식 투자를 하기 전에
꼭 알아야 하는 PER과 EPS의
개념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일전에 말씀드린 대로,
PER과 EPS는 모두 현재까지의
기업의 실적을 기반으로 지표입니다.
따라서 미래 성장성과 미래의 수익성을
보장해주는 지표는 아닙니다.
오히려 EPS의 경우 잘 성장하다가
역성장을 할 경우
주가가 갑자기 폭락할 수도 있고,
PER 이 지나치게 높지만
미래의 성장 가능성이 매우 큰 산업을
리드하고 있는 기업의 경우에는
미래 성장성이 더 크기 때문에
오히려 계속해서
주가가 상승하는 기업들도 있죠!
따라서 투자를 할 때는
내가 잘 알고 있는 기업을
소유하는 마음으로
장기적 관점에서 해당 기업이 속한 산업군과
여러 가지 투자에 필요한 요소들을
복합적으로 파악하고
투자하시길 바라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다음편 3. ROE, 자기자본이익률
https://divineinsights.tistory.com/entry/ 금융-용어-정리-3-ROE-Return-on-Equity-자기자본이익률-개념
[금융 용어 정리] 3. ROE (Return on Equity) 자기자본이익률 개념
오늘 알아볼 필수 금융 용어는 ROE입니다! 세계적으로 유명한 투자자들도 투자 전에 꼭 참고한다는 그 개념! ROE를 자세하게 알아보아요!! ROE의 정의와 계산 ROE는 Return on Equity의 약자로, 한국어로
divineinsights.tistory.com
반응형'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융 용어 정리] 4. ROA (Return on Asset) 와 ROI (Return on Investment) (2) 2024.03.27 [금융 용어 정리] 3. ROE (Return on Equity) 자기자본이익률 개념 (0) 2024.03.25 [금융 용어 정리] 0. 투자와 투기 (0) 2024.03.21 [금융 용어 정리] 1. 시가총액(Market Cap) 과 기업가치 (Enterprise Value) (0) 2024.03.21 국민건강보험 보수월액 조회하기. 직장보험료 조회. 행복주택 청약 전 정확한 소득 확인하기. (0) 2024.03.18